본문 바로가기
망한 아이디어 박물관

Facebook Credits – 페이스북 가상 화폐, 왜 실패했을까?

by 1m-vc 2025. 3. 22.

Facebook Credits – 페이스북 가상 화폐, 왜 실패했을까?

 

 

Facebook Credits – 페이스북 가상 화폐, 왜 실패했을까?

페이스북(Facebook)은 한때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체 가상 화폐, ‘Facebook Credits(페이스북 크레딧)’을 도입했다. 이 개념은 사용자가 페이스북 내에서 게임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앱 개발자들이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된 디지털 화폐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2011년에 공식 출시된 지 불과 2년 만인 2013년에 폐지되었다. 도대체 왜 실패한 걸까?


1. Facebook Credits의 탄생 – 왜 만들었을까?

① 소셜 게임 붐과 가상 화폐의 필요성

2000년대 후반, 페이스북은 단순한 SNS를 넘어 게임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그 중심에는 팜빌(FarmVille) 같은 인기 게임을 만든 "징가(Zynga)" 같은 개발사들이 있었다.

페이스북은 이런 게임들이 사용자들에게 유료 아이템을 판매하면서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하지만 문제는 결제 방식이었다.

당시 게임 개발사들은 신용카드, 페이팔(PayPal)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개별적으로 지원해야 했다.
페이스북은 이를 통합할 방법으로 Facebook Credits를 내놓았다.

Facebook Credits의 목표:

  • 페이스북 내에서 통합된 결제 시스템 제공
  • 사용자가 게임이나 앱에서 아이템을 구매할 때 Facebook Credits로 결제하도록 유도
  • 개발사들로부터 수수료(30%)를 가져가면서 페이스북의 수익 모델을 강화

② 마이크로소프트도 관심을 가졌다

페이스북 크레딧이 등장하자, 마이크로소프트도 이 시스템에 주목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2010년에 페이스북 크레딧을 지원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자사 포인트 시스템(Xbox Live 등)과 연동하려고 했다.

이처럼 페이스북 크레딧은 단순한 가상 화폐가 아니라, 페이스북이 앱과 게임 경제를 지배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었다.


2. Facebook Credits의 실패 원인

① 사용자의 불편함 – 환전해야만 쓸 수 있었다

Facebook Credits의 가장 큰 문제는 사용자가 직접 구매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즉, 신용카드나 페이팔로 실제 돈을 내고 먼저 Facebook Credits를 충전한 후 이를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굳이 중간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사용자들은 오히려 직접 신용카드나 페이팔로 결제하는 방식을 선호했다.

💬 "그냥 카드로 결제하면 되는데, 왜 굳이 Facebook Credits로 바꿔야 하지?"
이런 의문을 가진 사용자들이 많았다.

② 게임 개발사들의 반발 – 30% 수수료가 너무 높았다

페이스북은 Facebook Credits로 결제된 금액의 30%를 수수료로 가져갔다.
이는 애플 앱스토어(App Store)와 같은 정책이었지만, 게임 개발사들에게는 부담이 컸다.

특히, 인기 게임을 개발했던 징가(Zynga)는 자체 결제 시스템(직접 신용카드 결제 등)을 사용하면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었기 때문에 Facebook Credits를 적극 도입하지 않았다.

결국, 개발사들이 Facebook Credits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플랫폼 확산에 실패했다.

③ 글로벌 확장 실패 – 현지 화폐와의 환율 문제

Facebook Credits는 달러(USD)를 기준으로 운영되었지만, 문제는 각국의 환율 변동이었다.

예를 들어, 유럽이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사용자들이 Facebook Credits를 구매할 때 환율 변동으로 인해 불편을 겪었다.
결국 페이스북은 현지 화폐를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결제 시스템을 개편할 수밖에 없었고, Facebook Credits의 존재 이유가 사라지게 되었다.


3. Facebook Credits의 폐지 – 그리고 그 후

① 페이스북은 결제 시스템을 바꿨다

2013년, 페이스북은 Facebook Credits를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대신 각국의 화폐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결제를 변경했다.

✅ 기존 방식:

  • 💰 Facebook Credits를 먼저 충전 → 게임에서 사용

✅ 변경된 방식(현재의 페이스북 결제 시스템):

  • 💳 신용카드, 페이팔 등으로 직접 결제 가능
  • 🎮 각국의 통화(원화, 달러, 유로 등)로 바로 결제

이렇게 변경된 이후, 페이스북의 결제 시스템은 오히려 더 활성화되었다.

② 메타버스(Meta)로 이어진 가상 경제 실험

Facebook Credits는 실패했지만, 페이스북(현재의 "메타")는 이후에도 가상 화폐 시스템을 계속 연구했다.

2020년에는 ‘리브라(Libra)’라는 가상 화폐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규제 문제로 인해 2022년에 폐기되었다.
또한, 2023년에는 메타버스 내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메타 코인(Meta Coins)’ 실험을 시작했지만, 여전히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4. 결론 – Facebook Credits의 실패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Facebook Credits의 실패는 가상 화폐 시스템을 도입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요소를 보여준다.

1️⃣ 사용자의 편리함이 최우선이다.

  • 중간 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결제 방식은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다.

2️⃣ 개발자와의 상생이 필요하다.

  • 높은 수수료 정책은 오히려 플랫폼 확산을 방해할 수 있다.

3️⃣ 글로벌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 각국의 화폐 시스템과 환율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성장하기 어렵다.

Facebook Credits는 사라졌지만, 메타버스 시대에 다시 등장할 수도 있다.
과연 메타(구 페이스북)는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